동동이

동동이

  • 분류 전체보기 (84)
    • iOS (34)
    • SWIFT (23)
    • Design Pattern (3)
    • Combine (2)
    • RxSwift (3)
    • Algorithm (12)
    • Git (5)
    • 회고 (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동동이

컨텐츠 검색

태그

uicollectionview RxSwift CABasicAnimation UICollectionViewFlowLayout RxSwift Observable Algorithm dp iOS Developer 프로그래머스 iOS Unit Test IOS Core Animation SWIFT iOS Dev BFS 알고리즘 Git CAShapeLayer UIBezierPath 백준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분류 전체보기(84)

  • [SWIFT] Swift SOLID 원칙

    안녕하세요 오늘은 SOLID 원칙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근데, 이것을 Swift 언어에 접목시켜서 이해해보고 작성해보겠습니다 🙌 SOLID란? SOLID 원칙이란 객체지향 설계에 더 좋은 아키텍쳐를 설계하기 위해 지켜야하는 원칙들의 5가지를 앞의 약어만 따서 정리한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원칙을 왜 알아야할까요? 🧐 아무래도 개발자가 좋은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새롭게 어떤 기능이 추가되거나 유지 보수가 되어야 할 때 더욱 생산성 있고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 코드를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해나가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OLID 원칙은 이러한 좋은 설계를 위한 최소한의 원칙들을 정리해주기 떄문에, 중요하게 됩니다. 디저..

    2021.02.27
  • [iOS] FCM(Firebase Cloud Messaging) + APNs - 푸쉬 알림 등록 (2)

    저번 시간에는 푸쉬 알림을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지식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직접 iPhone으로 푸쉬알림이 가는 테스트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Firebase Cloud Messaging(FCM)을 이용해서 인증서를 등록하고 간단한 테스트 메세지를 핸드폰으로 전송해보겠습니다. FCM + APNs 이전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Provider - APNs 사이에 신뢰되는 사이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서가 필요한데요. 우선은 이 인증서를 발급받아볼게요. 저희가 이번 실습에서 해볼 인증서 방식은 p8, p12 방식 중에 p12 방식입니다. (p12 방식은 1년마다 인증서를 갱신시켜주어야하고 프로젝트마다 다른 인증서를 등록해주어야 해요 😢, 요즘 자주 사용하는 방식은 p8 방식이라고 합니다.) 우..

    2021.02.21
  • [iOS]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APNs) - 푸쉬 알림 등록 (1)

    Apple의 푸쉬 알림 등록을 공부해보고 기록해보려고 합니다. Apple의 푸쉬알림은 등록하기가 꽤 까다로운데, 인증서를 막 주고받고 생성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합니다. 우선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iOS에서 푸쉬알림을 구현하기 위해 알아야하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Ns란 애플에서 푸쉬알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애플 개발자 계정이 필수입니다. 그리고 우선 APNs라는 개념을 알아야 어떻게 APNs에서 각 앱을 설치한 Device로 알림을 보내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APNs란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의 약자입니다. 이 곳에서 각 디바이스로 보내기 원하는 메세지를 받고 그리고 이곳에서 그 메세지의 신뢰도를 검사해서 각 Device의 앱으로 푸쉬알림을 보내주게 됩니..

    2021.02.20
  • [SWIFT] defer 후처리

    오늘은 SWIFT 문법 중 defer 구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한 번도 사용해 볼 생각이 없었던 구문인데요.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보게되어서 한 번 공부해 보았습니다. defer란 defer구문으로 작성하게 되면 코드 블럭을 나가기 전에 꼭 실행되게 됩니다. 즉, 어떤 식으로 코드 블럭을 빠져나가게 되도 꼭 실행됩니다. 예로 오류가 발생해도 빠져나가기 전에 실행되고 정상적으로 코드가 작동해도 빠져나가기 전에 실행됩니다. func example() { defer { print("World!!") } print("Hello") } /* Print: Hello World!! */ 다음과 같이 World가 먼저 출력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defer 구문으로 작성하면 생각과는 다르게 실행됩니다. 우선 He..

    2021.02.16
  • [RxSwift] RxSwift란 - Observable, Disposable

    RxSwift에 대해서는 공부를 혼자 진행하고 있었는데, 이제부터 RxSwift도 혼자 공부하던 것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RxSwift에 대한 처음 포스팅이기 때문에 오늘은 RxSwift가 무엇인지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RxSwift라고 하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취직을 위한 우대사항 조건..(?), MVVM이랑 같이 쓰는 것..(?), 비동기..(?) 뭐 위에서 말한 사항들이 전부 조합되어 있긴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RxSwift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RxSwift란 우선 RxSwift는 기본으로 지원해주는 프레임워크는 아니고 외부의 라이브러리를 가져다써야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즉, ReactiveX라는 곳에서 만든 라이..

    2021.02.11
  • [iOS] TDD와 Unit Test

    TDD란 Test-Driven Development라는 뜻으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개발을 할 때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는지를 정의한 방법론입니다. 즉, 개발을 진행함에 있어서 테스트 코드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테스크 코드로 주도해 나갈까요? 🤔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함으로 테스트 코드를 이용해서 개발을 이어나간다는 뜻입니다. 밑의 그림을 보면 TDD의 프로세스를 표현한 그림인데, 이 프로세스를 짧은 주기로 반복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는 방법이 바로 TDD - Test-Driven Development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각 단계는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RED 실패하는 단계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만든다. 프로젝트 전체로 생각하지 말고 ..

    2021.02.06
1 ··· 4 5 6 7 8 9 10 ··· 14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